국내 사용자가 급상승하고 있는 중국 해외 직구 플랫폼 '알리 익스프레스'에서 판매 중인 어린이 제품들에서 유해물질이 다량 검출됐다. 이중 어린이용 가죽 가방에서는 인체발암가능물질이 기준치의 약 56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가 알리 익스프레스에서 판매 중인 생활 밀접 제품 31개에 대한 안전성 조사 결과 8개 어린이제품 등에서 허용 기준치를 크게 초과하는 유해물질이 검출됐다고 8일 밝혔다. 또 내구성 등 물리적 안전성이 충족되지 않는 제품들도 다량 유통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해외직구 제품 안전성조사 결과 부적합 판정을 받은 8개 제품(왼쪽부터 1~5세 어린이용 튜브, 사탕 모양 치발기, 지우개연필, 캐릭터연필, 목재 자석 낚시, 어린이용 가죽가방, 바나나 모양 치발기, 보행기)/서울시 (포인트경제)
이번에 부적합 판정을 받은 제품은 ▲어린이용 물놀이튜브 ▲보행기 ▲목재 자석낚시 장난감 ▲치발기(사탕모양) ▲치발기(바나나모양) ▲캐릭터연필 ▲지우개연필 ▲어린이용 가죽가방 등 총 8개 품목이다.
이중 어린이용 가죽가방에서는 플라스틱을 가공할 때 사용되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4종(DEHP, DBP, DINP, DIBP)이 검출됐고 이 총합이 기준치의 55.6배에 달했다.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불임 유발 등 생식 독성이 있으며, 그중 DEHP(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는 국제암연구소가 지정한 인체발암가능물질(2B등급)이다.
어린이용 물놀이 제품(튜브)에서도 기준치의 33배가 넘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검출됐다. 이 제품의 경우는 제품 두께도 국내 기준(0.25mm) 보다 얇아(0.19mm) 위험도가 높았다. 연필 2개(DEHP 33배~35배)와 목재 자석낚시 장난감(DBP 2.2배)에서도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검출됐다.
국내 KC인증제품과 해외직구 제품 비교 /서울시 (포인트경제)
치발기 2종의 경우 디자인과 형태가 기도를 막을 가능성이 높았고 작은 힘에도 쉽게 손상돼 질식 위험도 있었다. 보행기는 제품의 틈에 베임이나 낌 등의 가능성과 낙상의 위험이 있었다.
대책 마련...8일부터 소비자 피해 전담 신고센터 운영
서울시 관계자는 “저렴하다는 이유로 쉽게 소비하는 해외직구 제품은 국내 안전성 기준을 적용받지 않아 언제든 피해가 발생할 수 있어 소비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며 "소비자 피해를 최소활 하도록 적극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시는 이번 안전성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해외 온라인 플랫폼에서 판매 중인 상품에 대한 유해성 집중 조사와 소비자 피해구제 등 보호 대책을 집중적으로 추진한다.
알리, 테무, 쉬인 등 중국의 대표 온라인 쇼핑 플랫폼을 중심으로 상시 안전성 검사 체계를 가동하고 4월 넷째 주부터 매주 검사 결과를 시민들에게 공개하기로 했다. 검사는 국내 소비자들의 구매가 많거나, 피해접수가 많은 제품을 중심으로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과 국가기술표준원 인증기관에서 정확하고 신속하게 실시한다.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은 주방세제, 일회용품, 가공식품, 식자재류 등 검사 외에도 인체에 직접 닿는 화장품, 위생용품 등으로 검사 범위를 확대하고,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KATRI 시험연구원, FITI시험연구원 등에 생활용품, 의류, 가죽제품 등 일상생활에 밀접한 제품에 대해서 검사를 의뢰할 계획이다.
8일부터 해외직구 소비자 피해 전담 신고센터를 설치 운영하고 피해 상담과 구제 방안을 전담 요원이 빠르게 안내한다. 필요시 한국소비자원 등과 공조 체계를 구축해 피해를 최소화한다.
또한 소비자단체와 함께 저가 물품에 대한 무분별한 소비 대신 지속 가능한 가치소비를 지향하는 ‘대시민 캠페인’도 대대적으로 진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