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BIZ한국플라스틱제조업협동조합
Search
Navi
로그인
회원가입
아이디 찾기
Close
알림마당
공지사항
조합(원)소식
플라스틱 소식
포토갤러리
보고서
법령 정보
자유게시판
사업안내
공동구·판매
제품품질인증
시험원소개
단체표준제정
단제표준인증
인력양성 및 교육
해외시장개척
중소기업자간 경쟁제도
직접생산 확인제도
조합추천 수의계약
지명경쟁 입찰
공통기술개발
소기업 공동사업제품 우선구매제도
적격조합 인증
시험검사
한국플라스틱환경시험연구원
연구원 소개
품질방침
공평성 선언
절차 및 품목
시험접수 진행 절차
고객 문의
시험품목
성적서 진위확인
연구원자료실
조합원 정보
조합원 현황
조합원 제품정보
조합가입 안내
플라스틱산업
정의 및 특성
생산현황
수출입통계
조합 소개
인사말
설립목적 및 연혁
조직 및 구성
임원현황
연구조합
사업목표
조직도 및 담당업무
오시는 길
KBIZ한국플라스틱제조업협동조합
글로벌 메뉴 영역
알림마당
공지사항
조합(원)소식
플라스틱 소식
포토갤러리
보고서
법령 정보
자유게시판
사업안내
공동구·판매
제품품질인증
시험원소개
단체표준제정
단제표준인증
인력양성 및 교육
해외시장개척
중소기업자간 경쟁제도
직접생산 확인제도
조합추천 수의계약
지명경쟁 입찰
공통기술개발
소기업 공동사업제품 우선구매제도
적격조합 인증
시험검사
한국플라스틱
환경시험연구원
연구원 소개
품질방침
공평성 선언
절차 및 품목
시험접수 진행 절차
고객 문의
시험품목
성적서 진위확인
연구원자료실
조합원 정보
조합원 현황
조합원 제품정보
조합가입 안내
플라스틱산업
정의 및 특성
생산현황
수출입통계
조합 소개
인사말
설립목적 및 연혁
조직 및 구성
임원현황
연구조합
사업목표
조직도 및 담당업무
오시는 길
로그인
회원가입
아이디 찾기
Search
Navi
통합검색
검색
검색
알림마당
알림마당
공지사항
조합(원)소식
플라스틱 소식
포토갤러리
보고서
법령정보
자유게시판
플라스틱 소식
홈
알림마당
플라스틱 소식
printer
폐플라스틱 재활용한 제품·용기, 골라살 수 있게 된다
관리자
등록일 : 2024-03-28
재생원료 사용 표시제 29일 시행…사용 비율 표시
플라스틱 재생원료 사용 표시 마크. [환경부 제공]
앞으로 재생원료를 많이 사용한 플라스틱 제품을 골라 사면서 조금이라도 환경에 덜 영향을 주는 소비가 가능해진다.
'폐플라스틱 재생원료 사용 표시제'가 29일 시행된다고 환경부가 28일 밝혔다.
이 제도가 시행되면서 폐플라스틱에서 만든 재생원료를 일정 비율 이상 사용한 플라스틱 제품과 용기에 그 비율을 알려주는 마크를 부착할 수 있게 됐다.
라벨을 붙이지 않은 무(無)라벨 제품의 경우 라벨 대신 삽입되는
QR
코드로 확인할 수 있는 정보에 재생원료 사용률이 표시된다.
전기·전자제품은 재생원료 사용률이 20% 이상, 기타 제품·용기와 식품용 페트병은 10% 이상일 때부터 표시가 가능하다.
마크를 부착하려면 환경부로부터 현장조사 등을 거쳐 인증받아야 한다.
인증 유효 기간은 3년인데 환경부는 연 1회 이상 점검으로 재생원료 사용률을 지키고 있는지 확인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유럽연합(
EU
)
ISCC
플러스(
PLUS
) 등 국제 친환경 인증제를 준용해 제도를 만들어 폐플라스틱 재생원료 사용률을 표시하기 위한 추가 인증 부담은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ISCC
플러스 등 국제기관에서 받은 인증은 증빙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국내외 인증이 상호 연계되도록 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환경부는 재생원료를 사용하는 기업에 혜택을 추가로 주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현재 생산자책임재활용(
EPR
) 대상자가 폐플라스틱 재생원료를 사용하면 재활용 의무량을 최대 10% 줄여주는데 이를 20%까지로 확대하겠다는 것이 환경부 계획이다.
환경부는 투명 페트병 등의 재생원료 사용률 2030년까지 30%까지 확대할 계획으로 이를 위해 단계별 목표를 설정하고 업계와 자발적 협약을 맺어 재생원료 사용을 유도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전글
미세 플라스틱이 동맥에 들어가면 벌어지는 일
다음글
미세플라스틱, ‘도심의 허파’ 숲이 얼마나...
목록
페이지 맨 위로 이동